도면쟁이 전프로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도면쟁이 전프로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57)
    • 00 프로 완성편 (0)
    • 01 프로 기초편 (9)
    • 02 프로 기본편 (18)
    • 03 프로 작성편 (2)
    • 10 프로 사회생활 (27)

검색 레이어

도면쟁이 전프로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도면

  • Autocad 3D to 2D Export

    2022.03.04 by 전프로

  • 도면쟁이 표제란(Title Block)

    2021.07.16 by 전프로

  • 도면의 출력(Plot)과 그리드(Grid) 그리기

    2021.07.14 by 전프로

Autocad 3D to 2D Export

01 오토캐드 Plant 3D to 2D Flatshot Autocad Plant 3D에서 바로 Flatshot을 하면 솔리드객체가 확인 되지 않아 작성하지 못했다. 그래서 도움 말을 찾아 보았다. 도움말 AutoCAD Plant 3D에서 3D 파이프 도면의 2D .dwg를 작성하는 방법 | AutoCAD Plant 3D | Autodesk Knowledge Network 문제: AutoCAD Plant 3D에서 3D 파이프 도면의 2D .dwg 파일을 작성하는 방법을 알고 싶습니다. 원인: AutoCAD Plant 3D에는 내보내기 기능이 없으므로 이 유형의 프로세스가 자동으로 수행됩니다. 해결 방 knowledge.autodesk.com 도면의 뷰칼나게 하는 방법 우리는 프로아티스트

02 프로 기본편 2022. 3. 4. 16:22

도면쟁이 표제란(Title Block)

01 표제란이란 제목 따위를 적어 넣는 난. 일반적으로 도면의 왼쪽 아래에 위치한다. 라는 한자 의미를 담고 있는 내용 입니다. 영어로는 타이틀 블록(TITLE BLOCK)이라고 하는데요. 타이틀 보드(TITLE BOARD)하고 는 다릅니다. TITLE BOARD는 용지 전체를 나타내며, TITLE BLOCK이 표제란을 말합니다. 도면의 이름, 번호, 작성자, 수정날자, 척도 등 다양한데 제일 중요한게 도면에 대한 이름, 그리고 도면 번호, 그리고 수정 단계 이는 문서관리(Docrument & Drawing Control System)에서 규명하여 일류적인 접수와 발신등에 대한 관계와 최종 도면에 대한 제출 사항을 확인 하기 위함입니다. 요즘은 전산응용 자격증에 서도 많이 사용 하는 방법에 대하여 규격화..

01 프로 기초편 2021. 7. 16. 12:31

도면의 출력(Plot)과 그리드(Grid) 그리기

01 도면의 출력(Plot) 설계도면의 출력은 직접 복사기로 출력하는 것도 좋지만 지금은 PDF(Portable Document Format)로 출력을 확인 한 후에 복사기로 출력하는 것이 좋다. 그럼 출력물에 대한 확인을 1차로 할 수 있고. 복사기에 다녀오는 일도 줄여서 할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용지크기는 앞서 말했지만 캐드에서 도면 출력 설정할 때 선택해야 할 것이 있다. 첫번 째 : 복사기/프린터/플로터 등 출력 방향 두번 째 : 용지 크기 미국 규격인(ANSI)와 국제규격인(ISO)가 있는데 우리나라 KS(Korea Standard)는 ISO가 기준이라 A1(가로 841mm x 세로 594mm)용지로 선택해 보자 차이점은 내가 정한 용지 크기를 전체로 다 사용하여 출력에 담을 것 인가..

01 프로 기초편 2021. 7. 14. 12:10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TISTORY
도면쟁이 전프로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