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면보는 법은 무엇인가요?
도면을 어떻게 봐야하죠?
도면을 이해하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도면에 표현한 이 것은 무엇인가요?
등본, 초본, 가족관계증명원, 원천징수, 인감등 관공서 문서들이 있다. 이러한 문서도 사용 목적과 용도에 따라 구분되어 있다.
도면도 같다. 많은 종목과 분야에 따라 다르다.
고등학교 시절 "도면보는법"이라는 책을 구매한 적이 있었다. 이 책을 열심히 읽었을 까?
1995년 종로서적가서 구매한 책 기계제도기능사 /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 를 취득할 때도
이책을 가지고 공부한다고 펼쳐보지는 않았다. 그리고 어딘가로 없어졌다.
** 출처 : 예스 24 **
사업분야(Department)는 어떻게 나뉘어 있을까?
기계, 배관, 전기, 계장, 건축, 토목, 설비, 소방, 조경등 자신의 종목과 분야에 관련 되어진 내용을 구해서
살펴보자.
제일 좋은 교재가 될 수 있는 도면은
표지(Cover) 도면목록(Drawing List) 범례(Symbol & Legend) 약어(Abbreviation) 노트(Note)표현을 모두 가지고
있는 준공도서(As-Built)자료가 제일 좋은 교재이다.
전체적으로 도면이 눈에 들어 온다면
상세도면(Detail Drawing) 표준도면(Typical Drawing) 제작도면(Fabrication Drawing)을 연결해서 눈에 담아라
그러면 이마 뒤의 전두엽(前頭葉, 이마엽, Frontal lobe)에서 우리는 메타버스(확장가상세계, Metaverse)를 구현 하게된다.
이정도 되야 도면보는 법을 안다고 할 수 있다.
쉬운게 없다. 쉽게 알 수 없다.
그림 전시장에가면 크리에이터(Kreator)가 왜 있겠는가?
우리에게는 선배가 있다. 그리고 그 선배가 작성자(Artist, By Drawing, Designeer)라면
땡큐 배리 감사다.
나에게는 3개의 팬이 있다.
아주 굵은 선 / 굵은 선 / 가는 선
아주 굵은 선으로 외형 선을 그리고
굵은 선으로 눈코입처럼 윤관에 덛데고
가는 선으로 세세항목을 표기 하면
이렇게 도면을 그려요.
캐릭이 너무 기분 좋와 웃고 있는거 랍니다. ^^;
도면 그리는 법 끝
기초제도에서는 중요하다고 생각 하는게
내가 그리는 그림의 도화지 크기 즉 용지 크기를 알아 봐야 한다.
A5(다이어리 크기)
A5+A5=A4
A4+A4=A3
A3+A3=A2
A2+A2=A1
A1+A1=A0
내가 상상한 이미지를 얼만한 크기에 표현 하것인가?
이에 대한 파단이 먼져라고 생각한다.
도면쟁이 프로의 기초제도 학습은 용지크기 선택 부터 시작
캐드명령어,acad.pgp,단축키(Hot Key, Shot Key) (0) | 2021.07.22 |
---|---|
도면쟁이 표제란(Title Block) (0) | 2021.07.16 |
도면의 출력(Plot)과 그리드(Grid) 그리기 (0) | 2021.07.14 |
도면 크기(Drawing Size) 정하기 (0) | 2021.07.12 |
오토캐드(Autocad) 캐드(CAD)시작 (0) | 2021.07.04 |